본문 바로가기
도서 정보

자기계발서 추천, THE ONE THING

by Reading for 30 seconds 2021. 11. 9.

제목 : THE ONE THING (원 씽)
저자 : 제이 파파산, 게리 켈러


Q. 나에게‘단 하나’는?

· 탁월한 성과는 당신의 초점을 얼마나 좁힐 수 있느냐와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다.
· 남다른 성과를 얻기 위해선 삶에서 ‘도미노 효과‘를 만들어야 한다..
· 핵심은 오랜 시간이다. 성공은 연속하여 쌓인다. 단 한 번에 하나씩이다.
 

Q. 어느 것에 적용될까?

· 단 하나는 사람에게도 적용된다. (누구도 홀로 성공할 수 없다.)
· 하나의 열정 → 하나의 기술이 된다.
· 우리는 너무 많은 일을 하고 있다. 성공의 핵심은 ‘단 하나’이다. 그 하나가 성과의 시작점이다.
 

Q. 모든 일이 다 중요한가?

· 평등이란 거짓이다. (모든 것이 똑같이 중요하지는 않다.)
· ‘할 일 목록’ 대신 ‘성공 목록’을 만들어라. 성공하는 사람들은 언제나 뚜렷한 우선순위를 가지고 일한다. 할 수 있는 것 중 해야 하는 것을 골라 우선순위를 정해야 한다.
· 80/20 법칙을 따라 중요한 것들을 20%만 남기고 남겨서 하나에 이르게 해라.
· “NO”라고 말해라 → 일이 끝날 때까지는 “지금 말고”라고 딱 잘라 말해라.

Q. 멀티태스킹은 능력?

· 멀티태스킹은 허상이자 모든 일을 망치는 능력이다. 스탠퍼드 대학 실험에 의하면 “오히려 관련 없는 일에 푹 빠진다.”
· 해야 할 모든 일을 하는데 시간이 부족한 것이 아니라, 주어진 시간 내 너무 많은 일을 해야 한다고 느끼는 것이 문제이다.
· 멀티태스킹은 본래 업무에서의 작업 전환이 필요하기 때문에 다시 본래 업무로 돌아올 때 추가 시간이 발생한다. 작업 전환에는 대가가 따른다.
· 한 번에 두 가지 일에 효과적으로 집중할 수는 없다.
· 멀티태스커들은 시간과 효율성이 떨어지고 작업에 필요한 시간을 정확하게 예측하지 못하고 실수가 많으며 보다 높은 스트레스를 받는다.

Q. 성공은 철저한 자기 관리에서 오는가?

· 성공은 건전한 습관이 자리 잡을 때까지 훈련하면 온다.
· 성공은 모든 일을 제대로 해야 오는 것이 아니라 옳은 일을 해야 온다.
· 자신의 강점을 선택적 집중으로 습관화해라. 새로운 습관을 들이는데 평균적으로 66일이 걸린다.
· 한 번에 하나씩 습관을 들여라.
 

Q. 의지력은 무한한가?

· 의지력이 늘 발휘될 수는 없다. 스탠퍼드 대학에 웰터 미셀의‘마시멜로 테스트’에 의하면 의지력이 높은 아이가 후일 높은 성과를 이루었다.
· 의지력의 수명을 결정하는 것은 영양(음식)이다. 휴식(또는 식사)이 좋은 의사결정에 영향을 준다.
· 의지력이 가장 높을 때 중요한 일을 해야 한다.
 

Q. 일과 삶의 균형이란?

· 균형 잡힌 삶은 거짓이다.
· 기적은 항상 극단에서 일어난다. 균형이 잡힌 것은 어떤 것도 추구하지 않는 것이다.
· 극단을 추구하는 것 또한 문제가 있다. 시간이 유한함으로 잃은 것에 대한 후회가 생긴다.
· 버리고, 선택하고, 집중하라.
· 제임스 패터슨 <더 다이어리; 니콜라스를 위한 수잔의 일기> : “저글링은 일, 가족, 건강, 친구, 정직으로 하고 있다. 일은 고무고 나머지는 유리이다.” (일에 집중하되 나머지 것들에도 시간을 써야 한다.)

Q. 크게 벌이는 일은 위험한가?

· 큰 것 ≠ 위험
· 커다란 성공의 발판은 큰 생각에서 비롯된다. (크게 생각하고 → 행동하고 → 성공해라)
 

Q. 초점(FOCUS) 탐색 질문이란?

· 할 수 있는 단 하나의 일 → 그 일을 함으로써 → 다른 모든 일을 쉽게 또는 필요 없도록 만들 → ‘그 일은 무엇인가?’로 답이 도출된다.
· 큰 그림과 작은 초점 / ‘나의 단 하나는?’과 ‘지금 당장 해야 할 단 하나는?’
· 초점 탐색 질문은 우리가 갖는 가장 강력한 성공 습관이다. 정신적 행복, 신체적 건강, 개인적 삶, 핵심 인간관계, 일, 회사, 재정적 문제 해결을 위한 단 하나의 일을 정하자!
· 큰 질문을 던지고(크고 구체적으로) → 큰 해답을 찾아라.(연구하고 역할 모델을 찾아라.)
- 구체적 일정, 단 하나의 일을 정하자.(큰 질문)
- 당장 할 수 있는 것 → 최대한 힘을 발휘해야 하는 것 → 가능성이 있는 것 순으로 생각해서 가능한 큰 해답을 얻어라.
- 벤치마킹해서 배우고 트렌드를 예측해라.
 

Q. 목적의식이란?

· 우리가 누구인지, 어디로 가고 싶어 하는지를 알려주고, 하는 일과 성취하는 바를 알려준다. 목적의식 → 우선순위를 결정 → 생산성을 결정한다.
· 행복은 만족을 느끼는 길에서 생겨난다. 예를 들어, 재정적으로 부유한 사람 = 목적의식에 부합한 돈 이외에도 충분한 돈을 버는 사람이다.
· 일에 흔들림이 없어진다.
 

Q. 우선순위란?

· 우선순위가 없다면 목적의식은 무력하다.
· 삶에서 중요한 순간을 잘 활용하는 방법이다.
· 사람은 작은 보상보다 큰 보상을 좋아하면서도 미래의 큰 보상보다 현재의 작은 보상을 선호한다. → 보상이 먼 미래에 발생할수록 달성하고자 하는 동기가 줄어든다.
· 미래의 목적의식이 현재의 우선순위를 알려준다.
- 최종 목표(내가 하려는 단 하나) → 5년 후(5년 내에 할 수 있는 단 하나) → 1년 후(1년 내에 할 수 있는 단 하나) → 한 달 → 한 주 → 하루 → 지금
· 과정을 시각화하면 더 나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Q. 생산성이란?

· 생산적 활동은 삶을 바꾼다. 중요한 일 → 최대 효과를 발휘 → 탁월한 성과
· 성공하는 사람은 시간을 생산적으로 쓴다.
시간 확보의 기술(TIME BLOCKING)
해야 할 일을 반드시 끝내는 기술이다.
→ 하나에서 월등한 결과가 나온다면 하나에 월등히 많은 시간을 써야 한다.
휴식시간을 확보하라. (휴가 계획 세우기) 쉬는 것도 중요하다.
단 하나의 일을 할 시간 확보. (최소 4시간 이상)
계획할 시간을 확보하라! (매주 한 시간은 연간/월간 목표를 검토)
· 하루하루 할 일을 완수하여 습관이 몸에 익도록 하자.
· 단 하나의 일을 위한 시간을 따로 정해라.
· 정해둔 시간은 무슨 일이 있어도 지켜라. 그 무엇도, 그 누구도 단 하나의 일을 방해하지 못하게 하라.
 

Q. 단 하나를 위해 지켜야 할 것은?

1. 전문가의 길을 걸어라. 전문성은 투자한 시간에 비례한다.
2. 도전에서 목적의식으로의 이동 = 최고의 결과를 얻기 위한 가장 알맞은 방법으로 노력한다. = 일하는 방식을 지속적으로 개선
- 목적의식을 가진 접근법 (어렵고 부자연스러운 일에 도전) → 타고난 성취의 한계를 넘을 수 있다.
➀ 집중 ➁ 더 나은 모델과 시스템 ➂ 실행
3. 책임감을 갖고 살아라.
책임감은 꿈에 그리는 결과를 손에 넣게 한다.
책임감 있는 태도는 현실에서 생기는 일을 이해하고 → 인정하고 → 책임지고 → 해결책을 찾고 → 계속적으로 해나가는 것이다.
4. 코치를 찾아라.
· 다른 사람의 도움 없이 남다른 성과를 이룬 사람은 없다.
 

Q. 생산성을 떨어뜨리는 4가지는?

1. ‘NO’라고 말하지 못하는 것. 2. 혼란에 대한 두려움. 3. 건강에 나쁜 습관들. 4. 목적(목표) 달성을 도와주지 않는 환경
 

Q. 변화의 시작은?

더 큰 삶은 더 큰 삶을 상상할 때에만 가질 수 있다.


R(REALIZATION) = VD(VIVID DREAM), VD는 장소, 이미지, 글과 말 등을 통해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장소에 가서 후에 일을 상상하거나 이미지를 상상하거나 후에 일을 글로 적어 두고 항상 보고 말하면 현실이 될 수 있다. <꿈꾸는 다락방>

 

댓글